멋쟁이사자처럼 AIS7/TIL16 [1012] TIL - 사실(Fact) : Tidy Data로 만드는 melt와 정규표현식 등을 이용한 데이터 전처리를 배웠고 데이터 시각화를 복습했다. - 느낌(Feeling) : 아무래도 데이터 시각화는 계속 보지만, 나랑 잘 안맞는거 같다. - 교훈(Finding) : 앞으로 데이터 시각화는 의무적으로라도 복습을 꾸준히 해야겠다. seaborn이랑 plotly 예제를 따라해보자. 2022. 10. 12. [1011] TIL - 사실(Fact) : 코로나 EDA와 Tidy Data에 대해 배웠다. - 느낌(Feeling) : crosstab에 대해 복습을 해서 좋았고, dtype 등의 과정에서의 의문을 해소할 수 있었다. - 교훈(Finding) : 파편화된 지식을 취합해서 정리해야겠다. 2022. 10. 11. [1006] TIL - 사실(Fact) : 서울시 코로나19 데이터에 대한 EDA (시계열데이터) - 느낌(Feeling) : plotly와 람다에 대해 배워서 좋았다. - 교훈(Finding) : 시각화에 대한 심도 있는 공부를 해야겠다. 2022. 10. 6. [1005] TIL 사실(Fact) : map, apply, applymap의 차이와 pandas의 merge에 대해 배웠고 plotly 라이브러리를 배웠습니다. 느낌(Feeling) : 시각화 복습해주실 때 집중력이 흐트려져서 아쉬웠다. 교훈(Finding) : 시각화 열심히 복습하고 다시 읽어 봐야겠다. 2022. 10. 5. [1004] TIL 사실(Fact) : "서울특별시 다산콜센터(☎120)의 주요 민원"에 대한 목록과 민원을 수집했다. 느낌(Feeling) : 지난 mini project에 대한 복습 느낌이라 쉬울 줄 알았는데 만만치 않았다. 교훈(Finding) : 배움에는 끝이 없다. 판다스에 능숙해지고 try, except 등에 대해 공부해야겠다. 2022. 10. 5. 이전 1 2 3 4 다음